행정안전부가 2025년을 대비해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중소기업은행을 선정했다고 합니다. 이 소식은 13일에 밝혀졌는데요. 앞으로는 정부 앱 이외에도 총 10개의 민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삼성전자가 지난 3월부터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국민은행, 네이버, 농협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뱅크도 이달 말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선정된 기업들은 올해 7월부터 시스템 개발에 착수하여 내년 1분기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또한 내년 2분기까지 평가기관의 적합성 평가를 통과하면 같은 해 7월부터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신분증은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국가가 공인하는 수단인 만큼, 모바일 신분증 역시 최고 수준의 보안을 갖춰 국민이 믿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4개 참여기업은 신분증의 특수성을 고려해 어떤 서비스보다도 높은 보안 수준을 제공할 것으로 각오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입니다. 민간 기업들의 참여로 모바일 신분증 시스템이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교육 부분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의 확대로 인해 디지털화 시대에 발맞춘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 환경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 현장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이 어떻게 활용될지, 학생들의 정보 보호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