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전작권 환수 문제는 우리나라 역대 정부에서 늘 '뜨거운 감자'로 논의가 됐지만 무산됐었습니다. 그러다 박근혜 정부 때 한미가 전환 시기를 정하지 않고 '조건'이 충족되면 전환하기로 합의했었는데요. 이 조건이 무엇이고, 얼마나 충족된 상태인가요?
[질문 2]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어제(15일) 이재명 정부 임기 중 전작권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히자, 대통령실은 "개인 의견"이라는 입장을 내기도 했는데요. 현실적으로 '5년 내' 시한도 가능하다고 보세요?
[질문 2-1] 일각에서는 동맹국이 자국 방어에 보다 큰 비용과 역량을 부담해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로 인해 논의에 속도가 붙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데요. 이번에는 과거와 좀 다를 수 있을까요?
[질문 3] 트럼프 행정부가 국방 전략을 중국 위협 대비 중심으로 전환하고, 동맹국에 역내 안보 책임 확대를 요구하는 상황이잖아요. 전작권 환수에 속도를 내게 되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확대되거나 병력 규모 감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거나, 또는 한미 동맹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우려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세요?
[질문 4] 이런 가운데, 한국군이 전작권을 환수하면 현재 주한미군사령관이 겸직하고 있는 유엔군사령관을 주일미군사령관이 맡을 수 있다는 전문가 전망이 나왔는데요. 안보 측면에서 볼 때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 5] 한편, 주한미군의 현재 규모를 유지하는 내용을 담은 내년 회계연도 미국 국방수권법안(NDAA)이 미 하원 군사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 전략과 전 세계 미군 재배치 방안이 이르면 내달 말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주한미군 규모와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확정될 것으로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