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Plck

2025.07.31 00:00

징벌적 과징금 ‘0건’…무늬만 패가망신법 / KBS 2025.07.30.

  • 유튜브봇💥 23시간 전 2025.07.31 00:00 새글
  • 0
    0
[앵커]

'주가조작, 패가망신'.

다소 자극적인 이 표현을 정부가 부쩍 밀고 있습니다.

주가조작을 엄벌해야 주가도 더 오를 거란 겁니다.

이 일을 맡을 합동대응단이 오늘(30일) 출범했습니다.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탐지부터 고발까지 세 기관이 따로 처리하던 걸 하나로 간소화하겠다는 겁니다.

추석 전에 1호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며 속도전을 예고했습니다.

방향도, 의지도, 반길 일이긴 하지만, 조직 하나 새로 만든다고 주가조작 패가망신이 쉽게 가능할까요.

여전히 빈틈이 적지 않은데요.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당이득 혐의 약 7천3백억 원 지금까지도 역대 최대 주가조작인 '라덕연 사태' 이후, 징벌적 과징금이 도입됩니다.

[박대출/당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2023년 5월 : "부당이득의 최고 2배를 환수하는 과징금 체제를 신설하는 내용의…."]

주가조작으로 1억을 벌면 2억을 토해내도록 강제하겠단 뜻으로, '주가조작 패가망신법'으로 불렸습니다.

이 패가망신법, 실효성이 있을까요.

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부터 이달까지 1년 7개월 동안, 증권선물위원회가 제재한 354건 중 과징금 부과는 0건.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잘 벼린 칼을 칼집에만 넣어둔 격입니다.

최근 KBS가 연속 보도한 기자 선행매매 혐의도 그중 하나입니다.

미리 주식을 사고 호재를 보도해 주가를 띄운 뒤 주식을 팔아 거액을 챙긴 수법.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기자와 가족 등 15명을 고발하면서도 과징금은 생략했습니다.

[박주근/리더스인덱스 대표 : "과징금은 형사법과 별개이기 때문에 그 내용을 빨리 오픈(공개)할 수 있고 2차·3차적인 자본시장에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금융위는 검찰과 '협의'가 돼야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고 했고, 검찰은 기소 여부를 정하기 전의 과징금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기업의 각종 불공정 행위에 과징금 4,227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모두 기소 전에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황종원/영상편집:여동용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8318044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뉴스 Plck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댓글
      5P
  • 전체 14,845건 / 4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
의견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