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이번 기록적인 폭우로 4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습니다. 지금까지 피해 상황,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1-1] 어제 충청지역도, 오늘 쏟아진 폭우도 유독 밤사이에 이루어졌습니다. 오늘 밤도 심상치 않은데요, 밤만 되면 왜 폭우가 내리는지가 궁금하고, 이렇게 야간에 비가 쏟아지면 어떤 점을 더욱 주의해야 할까요?
[질문 2] 정부는 어제 오후부터 풍수해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올리고, 중대본 3단계로 가동하고 있습니다. 중대본 3단계면 어떤 지원이 이뤄지는 건가요?
[질문 3] 폭우로 인해 산사태, 침수 등의 사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천변 근처 지역 주민에게는 대피 권고가 내려지기도 하는데요. 이럴 때 대피 요령이 있을까요?
[질문 4] 이번 폭우로 도로 침수가 300여 건 넘게 발생했습니다. 운전 중에 도로가 침수되거나 도로 침수로 인해 차량이 물에 잠겼을 경우 대처법이 있다면요?
[질문 5] 지난 수요일 발생한 경기 오산시 고가도로의 옹벽붕괴 사고와 관련해서 진작부터 사고의 조짐이 있었다는 내용의 글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을 보면 도로에 포트홀과 상당한 길이의 크랙이 생긴 모습이 담겨져 있는데요,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5-1] 국토교통부는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진상 파악에 나설 계획입니다. 어떤 점을 집중 조사하게 될까요?
[질문 6] 지반이 약해진 탓에 산사태 우려가 제일 커 보입니다. 산사태의 경우 전조 현상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부분을 잘 살펴봐야할까요?
[질문 6-1]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산불 피해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비율이 일반 산림지역보다 200배 더 높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어떻습니까? 최근 큰 산불이 발생한 경북지역의 경우는 좀 더 위험할 수도 있을까요?
[질문 7] 폭우로 인한 높은 습도 환경은 누전 사고 위험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감전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부분을 주의해야할까요?
[질문 8] 이렇게 비가 쏟아질 때면 보통 장화를 많이 신게 되는데요. 장화가 오히려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왜 그런가요?
[질문 9] 이번 주 일요일까지 폭우가 예보돼 있습니다. 이럴 경우, 복구 작업은 어떤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보세요?
#폭우 #풍수해 #도로침수 #옹벽붕괴 #산사태 #누전사고 #안전관리
▣ 연합뉴스TV 다큐멘터리 전문 채널 '다큐디깅'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Docu-Digging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www.youtube.com/@yonhapnewstv23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