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이제 보름 좀 넘게 지났는데요. 수도권에서 10억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근데 실거래가는 오히려 상승했다고 하는데,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건가요?
[질문 1-1] 서울의 고가 아파트 중에서도 오래된 노후 아파트들의 가격이 올랐다고 하는데, 이건 왜 그런 건가요?
[질문 2]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10억 초과 아파트의 계약 취소가 대출 규제 시행 이전보다 8%p나 올랐다고 하는데요. 예상보다 많은 수치인가요? 6·27 대출 규제가 효과가 있었다고 봐야 할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질문 2-1] 서울에서 강남권뿐 아니라 노도강 등 외곽 지역도 계약 취소 비중이 늘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영끌족들의 매수가 많던 노원구는 계약 해지 비율이 강남권보다 더 높다고 해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6·27대책 이후 보름 만에 5억 이하는 늘고, 10억 이상은 급감한 건데요. 지금까지의 현상으로 볼 때, 이번 6·27대책이 부동산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거라 보세요?
[질문 3-1] 6·27대책이 나왔을 당시, 초강력 대출에 기대를 거는 전문가들도 많았지만, 공급 대책이 빨리 나와 줘야 한다는 이야기도 많았는데요. 이번 6·27 대출 규제 대책이 성공하려면 어떤 대책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보세요?
[질문 4]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 분양 시장에서 1순위 청약 통장 3개 중 1개가 서울에서 사용됐다고 하는데요. 청약을 신청한 사람 세 명 중 한 명이 서울 아파트에 도전한 셈인데, 청약도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뚜렷하네요?
[질문 5] 청약통장 가입자가 한 달 새 1만 7,000여 명 줄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이것도 대출 규제의 영향이라고 봐야 할까요?
[질문 5-1] 1순위 가입자는 이탈하는데, 오히려 기간이 짧은 2순위 가입자 수는 늘고 있다고 하는데, 이건 왜 그런 건가요?
[질문 6] 이번 주 일요일이 벌써 초복입니다. 물가가 너무 오르다 보니 이번 초복엔 직접 닭을 사서 삼계탕을 끓여 먹어 볼까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으시던데, 전통시장 재료비를 조사해 봤더니 이마저도 작년보다 12%가 오르고 5년 전보다는 35%나 재료비가 올랐다고요?
[질문 6-1] 외식하는 경우 서울 지역 삼계탕 한 그릇 평균 가격은 1인분에 1만 7,000원이라고 하는데, 집에서 먹는 게 9,000원이니까 아무래도 집에서 해 먹는 게 더 싸긴 한 건데요. 정부에서 장바구니 물가를 잡기 위해 앞으로 3주간 많은 할인 행사들을 지원한다고요?
▣ 연합뉴스TV 다큐멘터리 전문 채널 '다큐디깅'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Docu-Digging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www.youtube.com/@yonhapnewstv23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