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Plck

2025.07.15 19:30

초저가 왕좌 놓고 격돌…일·중 공습에 다이소 천하 무너지나 [경제콘서트] / KBS 2025.07.15.

  • 유튜브봇💥 16일 전 2025.07.15 19:30
  • 0
    0
1990년대 일본 100엔숍 풍경입니다.

우리 돈 1000원 정도, 초저가 상품을 내세운 100엔숍이 일본에 들어선 건 1920년대지만 본격 자리매김한 건 1990년댑니다.

버블 붕괴 후 장기 디플레에 접어든 시점과 일치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끝 모를 고물가에 가성비를 강조한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그래서겠죠.

이미 국내에 자리 잡은 다이소를 넘어, 일본, 중국 기업들까지 새롭게 우리나라 저가 유통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일본 여행 시 꼭 들러야 하는 쇼핑몰로 알려진 '돈키호테'.

[권은비/가수/유튜브 '권은비 KWON EUNBI' : "일본 오면 돈키호테를 자주 가는데."]

일본 돈키호테의 한국 상륙 소식에 평일 아침 8시부터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섰습니다.

이 팝업 스토어에는 단 일주일 동안 만 명 가까운 방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선협/경기 이천시/KBS 뉴스/지난 13일 : "일본 가고 싶었는데 돈키호테 온다고 그래서 여기서 사야겠다 해서 왔습니다."]

일본의 300엔숍인 쓰리피 역시 최근 국내에서 상표권 출원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중국 브랜드들까지 국내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김은정/경기 화성시/KBS 뉴스/지난 13일 : "다이소보다 조금 더 고급스러운 느낌. 캐릭터가 예쁜 것도 많고."]

지난 2016년 짝퉁 다이소라는 오명을 받으며 한국 시장에 진출했던 중국의 미니소.

결국 2021년, 철수했는데요.

4년 만에 다시 돌아왔고요.

중국에서 잘 팔리는 아기자기한 캐릭터 상품 등을 대표로 내세워 사업 확장을 노리고 있습니다.

중국판 다이소로 알려진 '요요소' 또한 전북 군산에 이달 내 매장을 열 예정입니다.

우리나라가 일본, 중국의 저가 용품 브랜드들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는 상황.

그 중심엔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다이소의 성공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다이소의 매장은 전국적으로 1500여 개 4조 원 가까운 매출에, 영업이익도 3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종우/아주대 경영학과 교수/KBS 뉴스/지난 13일 : "여러 가지 상품을 제공하는 게 (국내 시장의) 트렌드가 되고 있어요. 잡화점 가면 이것저것 다양한 물건이 많고. 그걸 타깃으로 하는 해외 리테일 기업들이 한국을 공략하고 있는 겁니다."]

한·중·일 저가 브랜드들의 새로운 경쟁 구도에 소비자들은 더 많은 선택지를, 시장은 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최정연 신남규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8304789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중국 #일본 #저가브랜드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뉴스 Plck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댓글
      5P
  • 전체 14,729건 / 478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
의견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