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오늘(1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오늘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합니다. 오늘 청문회에선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과 중국의 이른바 '서해공정', '북한 핵폐수 방류' 의혹 등 해양수산 주요 현안과 전 후보자에 대한 도덕성 검증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수부는 지난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에 위치한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해수부 부산 이전은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연내 부산 이전을 지시한 뒤 해수부는 이전 추진기획단을 발족하는 등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해수부는 청사수급관리계획 반영과 이전에 필요한 예산 예비비 확보 등 행정 절차를 거쳐 설계 및 공사를 신속히 추진하고, 올해 안에 일괄 이전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현재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 공론화 없는 '일방적인 밀어붙이기'라며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세종시와 인천시는 각각 '행정수도 역행'과 '인천 홀대'라며 반발하는 등 지역 간 갈등으로 번질 조짐으로 보이는 데다, 10대 공약에 포함됐던 세종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정책 일관성에도 저해된다는 논란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또 해수부 공무원들은 '졸속 이전'이라고 규정하고, 삭발 및 단식투쟁에 나서고 있습니다. 윤병철 국가공무원노조 해수부지부 위원장은 지난 9일부터 국회 앞에서 단식 농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해수부 공무원노동조합이 앞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수부 직원 가운데 약 86%가 이전에 반대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직원들은 이전에 따른 주거 비용이나 거주지 문제, 자녀 전학 등 갑작스러운 정주 여건 변화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국민의힘은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부산·울산·경남(PK) 표심을 잡기 위해 해수부 부산 이전을 졸속 추진한다며 공세를 펼치고 있습니다. 전 후보자는 지난달 25일 기자들과 만나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해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겠다고 하는 것은 작게는 부산의 문제지만, 보다 근본적이고 근원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 대한민국의 발전 전략 차원에서 이 공약이 구상됐던 것이고 현실화된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어 "다만 그 과정에서 해수부의 구성원들의 다양한 목소리들이 있다"며 "그 목소리들을 제가 놓치지 않고 열심히 소통해 그분들의 목소리를 다 듣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