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Plck

2025.07.22 20:00

“손님은 없고 파리만”…금 거래량은 ‘폭증’, 금은방은 ‘텅텅’?! [경제콘서트] / KBS 2025.07.22.

  • 유튜브봇💥 8일 전 2025.07.22 20:00
  • 2
    0
건물 로비에 인파가 가득합니다.

외환위기 당시, 장롱 속 묵혀둔 금을 꺼내 나랏빚을 갚던, 일명 '금 모으기 운동'의 현장인데요.

[이봉원/개그맨/KBS 뉴스/1998년 1월 : "둘째 상엽이가 생겼습니다. 돌잔치를 미리 당기겠습니다. 저를 아시는 모든 분에게, 돌 때는 그냥 빈손으로 오시고, 지금 먼저 돌 반지를 주십시오."]

그 시절, 한국 경제의 돌파구이자, '국민적 연대'의 상징이던 금, 지금은 대표적인 '투자 상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KBS '대운을 잡아라' : "누가 봐도 노다지인 금광이 내 눈앞에 있어. (그럼 캐야죠.)"]

금 투자가 '노다지'가 된 건 그만큼 불황의 골이 깊기 때문입니다.

올 상반기 한국거래소 금 시장의 거래량은 37.3톤, 지난해보다 4배 넘게 오르며 사상 최대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개인 투자자의 금 거래 계좌 수는 지난해보다 10% 증가했고, 투자 상품인 금 관련 ETF도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단순히 금이 아닌, 금 '채굴' 기업에까지 투자하는 상품이 인기를 끄는가 하면, 은행권에선 실물 금을 맡기면 은행에서 운용해 주고, 만기 시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도 업계 최초 출시를 앞두고 있는데요.

금 투자 시장이 이렇게 호황이지만, 귀금속 도매 상가는 영 썰렁하기만 합니다.

[양현승/귀금속 매장 운영/KBS 뉴스/지난 21일 : "주중에는 심할 때는 거의 저희가 접객을 거의 못 하고 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금 한 돈에 63만 원, 천장을 뚫을 듯한 금값에, 실물 반지나 목걸이를 찾는 손님들 발길이 끊어진 겁니다.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부산의 귀금속 도매 상가는 벌써 6곳이 경영난에 문을 닫았습니다.

[김영훈/부산 귀금속 유통업 협동조합 이사장/KBS 뉴스/지난 21일 : "옛날에는 서로 들어오려고 권리금까지 있었는데 지금은 공실이 생겼습니다. 각 상가도 공실이 많고 그래서 굉장히 위태로운…."]

금이 장신구에서 '투자 상품'으로 변하면서 실물 수요가 줄어든 데다, 결혼식 예물 등이 간소화 된 점.

저출생 여파에 돌 반지를 찾는 수요도 줄어든 영향입니다.

[상인/KBS 뉴스/지난해 11월 : "장사 안되고 세는 비싸고 하니까 뭐 하러 들어오겠어요. (옛날에는) 여기가 금은방이고 아주 고급을 팔았는데…."]

특히 단순 장신구용 귀금속을 주로 취급하는 소규모 금은방은, 경기 침체와 맞물려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는데요.

금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가운데 실물 소비 시장과 투자 시장의 희비는 엇갈리고 있습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8310257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금값 #금거래 #금은방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뉴스 Plck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댓글
      5P
  • 전체 14,488건 / 80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
의견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