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대학이 1학기를 마무리하고 있는 가운데, 의대생들 중 수업 불참으로 인해 유급 대상이 된 학생들 중 실제 유급 처리가 된 학생은 약 8%에 불과하다고 한다. 현재까지 학교들이 유급 학사 행정 처리를 완료하지 못한 상황으로, 의정 대화가 진행되면서 관련 대책이 마련될 가능성에 주목이 쏠리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의 1학기 의대 재적생 2만 3670명 중 유급 대상자는 1만 7명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유급이 확정된 학생은 853명으로 8.5%를 차지한다고 한다.
전국 40개 의대 중 A 대학은 유급 대상자 517명 중 357명, B 대학은 309명 중 309명, C 대학은 187명 중 187명을 유급 처리했으며, 나머지 37개 대학은 아직 유급 확정 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반적으로 대학들은 1학기가 끝난 후 성적 산정위원회 등을 통해 의대생의 유급 및 제적 처리를 확정하는데, 현재 3개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이 아직 유급 행정 처리를 완료하지 못한 상황이다.
의대생들의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급 처리와 관련된 이러한 상황은 학생들과 학부모들 사이에서 불안감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들이 신속하고 투명하게 유급 행정 처리를 마무리 지어 학생들의 2학기 복귀를 원활하게 이끌어나가야 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부와 대학들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이 필요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