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 연구가인 이재준은 1905년 11월 20일, 을사늑약 체결 이후 일어난 일에 대해 언론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당시 장지연 선생이 황성신문에 실은 글에서, 그는 일본의 헌병들이 조선을 위협하는 상황을 비판하고 국민들에게 호소했습니다. 장지연 선생은 목숨을 걸고 일본의 횡포를 규탄했죠.
이미지1
장지연 선생은 글에서 "4천년의 강토와 5백년의 사직을 남에게 바치고 2천만 생령들을 남의 노예로 만들었다"며, 박제순과 일본의 각 대신들을 비판했습니다. 이는 당시 조선이 일본의 압박에 시달리던 시대적 배경을 잘 보여주는 발언이었습니다. 장지연 선생은 조선 국민들에게 자주의 중요성을 일깨웠습니다.
이재준은 이를 통해 언론이 평화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강조했습니다. 언론은 권력에 맞서 진실을 밝히고 국민들을 인식시키며, 평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이는 언론이 사회적 약자를 지키고 권력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 것입니다.